노스텔지어는 내게 단순한 향수나 감상이 아니다. 그것은 작업으로 이끄는 가장 근원적인 충동이다. 온전했던 무언가가 사라진 자리, 그리고 그것을 되찾으려는 욕망은 나를 혼돈 속으로 끌어들이고 동시에 앞으로 나아가게 만든다. 기억을 붙들수록 그것은 형태를 잃고 뒤섞이며, 시간은 휘어져서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내가 맞물리지 못한다. 결국 남는 것은 선명하지 않은 아릿하고 희미한 잔상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멈추는 순간 모든 것이 사라질까 봐 두려워서 난 시공간을 연결하려는 행위를 멈출 수 없다.
사라지는 건 인간 또한 예외가 아니다. 우리는 소모되고 결국 소멸한다. 기억도, 열정도, 감정도 서서히 무뎌져 관절처럼 닳아간다. 시간은 우리를 기다려주지 않으며 흐르는 순간을 붙잡으려는 시도는 늘 실패로 끝난다. 그러나 시간을 멈출 수는 없어도, 그와 함께 부드럽게 흐를 수는 있다. 그래서 나는 유연한 시간처럼 말랑한 사람이 되고 싶다. 잃어버린 것을 되찾는다면 비로소 내가 바라는 상태, 혹은 나 자신이 닿고자 했던 자리로 이어질 수 있을 거라 착각한다.
내 작품은 바로 이 믿음과 두려움 사이에서 태어난 흔적이다. 차갑고도 유기적인 재료를 통해 인간의 육체성과 그 소모를 은유한다. 깎이고 닳아 없어지는 감각, 파편처럼 흩어지는 기억, 그리고 동시에 사라져가는 기억과 감각 속에서도 여전히 타인과 이어지고자 하는 움직임을 기록한다. 그것은 상실과 연결, 소모와 교류라는 두 갈래의 충동이 한 지점에서 마주치는 순간이다.
사라지는 것들을 붙잡으려는 행위는 아픔을 동반한다. 그러나 그 아픔은 나를 무너뜨리기보다 오히려 연결로 이끈다. 과거와 현재, 타인과 나 자신을 이어주는 다리처럼 작동한다. 그래서 나의 작업은 단순히 사라진 것을 애도하는 것이 아닌, 소모된 인간 존재가 여전히 서로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몸부림의 기록이 된다. 이 기록을 통해, 언젠가 완전히 사라지더라도 확실히 남았던 흔적이 있었음을, 누군가와 이어졌던 순간이 분명히 존재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Nostalgia, to me, is not mere sentimentality or longing—it is the primal impulse that drives my work. At the place where something once whole has vanished, and within the desire to recover it, I am drawn into chaos even as I am propelled forward. The more I try to hold on to memory, the more it dissolves and distorts, and time bends so that my past and present selves can no longer align. What remains is only a faint, stinging afterimage—unclear yet tender. Still, I cannot stop trying to connect fragments across time, for I fear that if I stop, everything will disappear entirely.
Disappearance spares no one—not even humans. We are consumed, and ultimately, we fade. Memory, passion, emotion—all dull over time, wearing down like joints. Time does not wait for us, and every attempt to capture a fleeting moment ends in failure. Yet while I cannot stop time, I can choose to flow gently with it. That is why I wish to become a supple being, soft like time itself. I deceive myself into thinking that by recovering what was lost, I might finally reach the state—or the self—I have longed for.
My works are traces born between this faith and fear. Through cold yet organic materials, I metaphorically explore the corporeality of human beings and their gradual consumption. I record sensations that are carved away and worn down, memories that scatter like fragments, and movements that strive to connect with others even as perception and memory fade. It is the moment when two opposing impulses—loss and connection, consumption and exchange—collide.
To grasp what disappears is to endure pain. Yet that pain does not destroy me; it leads me toward connection. It acts as a bridge—linking past and present, the self and the other. Thus, my work is not a mere elegy for what has vanished, but a record of the human will to reach out and connect, even in depletion. Through that record, I wish to show that even if everything ultimately disappears, there once existed traces that were unmistakably real, and moments where we were truly connected.
Instagram@hipew